본문 바로가기
자녀 역사교육 참고 자료/고려시대 사건수첩

고려의 권력 중심, 중서문하성과 삼사 – 중앙집권의 핵심은 어디였을까?

by 평산훈남 2025. 6. 17.
🔍 요약: 고려는 어떻게 강력한 중앙집권 체제를 구축했을까? 중서문하성과 삼사를 중심으로 한 고려의 통치 구조를 이야기 형식으로 흥미롭게 풀어봅니다.

▲ 문종재위기간 문하시중을 지낸 해동공자 최충 [출처 : 드라마 "고려거란전쟁"]

 

“나라가 안정되려면 권력의 중심이 명확해야 한다. 마음대로 명령을 내리는 자는 없어야 하며, 감시받지 않는 권력도 없어야 한다.”

📋 목차

반응형

📌 고려 초창기, 권력은 어디에 있었을까?

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한 후, 왕건은 강력한 중앙정부를 원했습니다.


“호족과 지방 세력이 여전히 힘을 쥐고 있다면, 고려는 오래가지 못한다.”

 

하지만 왕건은 무력으로 모든 걸 장악하지 않았습니다.
그는 제도를 통해 권력을 중앙으로 모으는 방식, 즉 중앙집권을 택합니다.

 

📌 중서문하성, 고려 정치를 설계하다

고려 중앙정부의 가장 핵심 기구는 바로 중서문하성(中書門下省)이었습니다.
이곳은 오늘날로 치면 국무총리실 + 청와대 + 행정각부가 결합된 강력한 정책 기획 기관이었습니다.

  • 국정 전반의 기획과 총괄
  • 왕의 명령을 정리·작성
  • 중앙 관청을 지휘

특히 중요한 인물은 문하시중(門下侍中)이었고, 이는 국정 총리에 해당하는 자리였습니다.
고려 말기로 갈수록 실질 권력자가 되는 자리이기도 했죠.

 

📌 삼사, 재정과 감찰을 쥐다

하지만 왕건은 한쪽으로 권력이 몰리는 것을 경계했습니다.
그래서 만든 것이 또 하나의 핵심 기구, 바로 삼사(三司)입니다.

삼사는 이름 그대로 세 기능을 맡았습니다:

  1. 전곡사 – 국가의 세입 관리
  2. 전창사 – 곡물 및 창고 관리
  3. 도관사 – 회계와 감찰 기능

즉, 돈과 곡물, 그리고 감시를 담당한 조직이었죠.
행정은 중서문하성, 재정과 견제는 삼사. 완벽한 균형이었습니다.

반응형

📌 권력의 견제와 균형

왕은 최고 권력자였지만, 모든 일을 독단적으로 처리할 수는 없었습니다.

  • 정책은 중서문하성에서 상신
  • 재정은 삼사에서 감시
  • 군사와 사법은 별도로 나뉜 중추원어사대가 담당

이런 분권적 중앙집권 체제는 고려가 수백 년간 유지될 수 있었던 비결 중 하나였습니다.

 

📌 고려와 조선의 차이점?

많은 사람들이 고려와 조선을 혼동합니다.
하지만 조선은 유교 중심의 경국대전 체제,
고려는 불교 + 귀족 중심의 협의 정치에 가까웠습니다.

 

고려의 중앙 권력은 왕 혼자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, 문신 귀족들 간의 합의와 균형을 바탕으로 운영되었죠.

 

📌 정리: 중서문하성과 삼사란?

기구명 기능 역할
중서문하성 행정 총괄 정책 기획, 명령 작성, 관청 지휘
삼사 재정 관리 및 감찰 세입·곡물·회계, 권력 견제

 

이처럼 고려의 중앙정치는 권력 집중과 감시 시스템을 함께 설계한 고도의 정치 구조였습니다.

 

💡 마무리 한마디

고려는 무력으로 나라를 통치하지 않았습니다.
대신 제도와 균형, 정치 철학과 감시 시스템으로 중앙집권을 실현했죠.


그 중심엔 바로 중서문하성과 삼사라는, 이름만큼이나 중후한 기관들이 있었습니다.

 

 

오프앤 국산 남녀공용 특양면 오버핏 빅사이즈 고양이 프린팅 박스 반팔 티셔츠 - 티셔츠 | 쿠팡

현재 별점 4.7점, 리뷰 566개를 가진 오프앤 국산 남녀공용 특양면 오버핏 빅사이즈 고양이 프린팅 박스 반팔 티셔츠!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티셔츠 제품들을 확인해보세요.

www.coupang.com

※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

 

💬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
공감 + 댓글 은 큰 힘이 됩니다.

여러분의 응원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! 😊

 

 

반응형